본문 바로가기

중국 고전 명시 감상

책자(責子): 자식을 책망하다... 도연명(陶淵明)

責子(책자): 자식을 책망하다.

白髮被兩鬢(백발피량빈): 흰 머리카락은 양쪽 귀를 덮었고
肌膚不復實(기부불부실): 살결도 이전처럼 실하지 않구나.


雖有五男兒(수유오남아): 비록 다섯 아들이 있지만
總不好紙筆(총불호지필): 모두 종이와 붓을 좋아하지 않는다.


阿舒已二八(아서이이팔): 서(舒)는 벌써 열 여섯살인데도
懶惰故無匹(라타고무필): 게으르기가 짝이 없다.


阿宣行志學(아선행지학): 선(宣)은 열 다섯살이 다 되어가도
而不好文術(이불호문술): 공부를 좋아하지 않는다.


雍端年十三(옹단년십삼): 옹(雍)과 단(端)은 열 세살인데
不識六與七(불식륙여칠): 6과 7도 구분하지 못한다.


通子垂九齡(통자수구령): 통(通)이란 자식은 아홉살이 가깝지만
但覓梨與栗(단멱리여률): 배와 밤만 찾는 밥통이라오.


天運苟如此(천운구여차): 하늘이 준 자식 복(福) 이러하니
且進杯中物(차진배중물): 에이~!. 잔 속의 술이나 들이킨다네...

 

흰 머리카락은 양쪽 귀밑까지 덮어 버렸고 살결은 이미 거칠어져
예전같이 않구나.
아들 놈들은 다섯 명이나 두었으나 하나같이 시원찮아 모두 공부에 재주(才操)가 없다.
맏아들 서(舒)란 녀석은 열 여섯살이나 먹었어도 게을러 터졌고,
둘째 놈 선(宣)은 열 다섯살이 되어가지만 학문(學文)과는 이미 담을 쌓았다.
셋째와 넷째 쌍둥이 놈들인 옹(雍)과 단(端)은 열 세살인데도 6과 7을 구분도 못하는
답답한 놈들이다.
그리고 막내아들 통(通)이란 놈도 이제 아홉살인데...
그저 배나 밤 같은 먹을 것만 찾는 밥통이라오.
아~!
하늘이 내려준 자식 복이 이지경이니...
그저 술이나 실컷 마셔 취함으로 위안을 삼을 뿐이라네...

 

도연명(陶渊明)은 본 블로그에서도 여러 번 언급 했듯이
동진시대(東晉時代)의 대표적(代表的) 전원시인(田園詩人)으로,
손수 농사을 지으며 전원(田園)의 삶을 실천하고

또 그것을 즐겼던 모범적(模範的)인 시인(詩人)이었다.


그는 썪어빠진 세태(世態)에서의 벼슬자리에 별 관심도 없었고

높은 벼슬을 탐하지도 않았다.
전원생활 중에도 조정(朝廷)에서 여러 차레 높은 관직(官職)을 권유 받았으나
모두 거절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그의 문학(文學) 특히 시(詩)는

중국(中國)을 비롯한 우리나와 일본(日本)의 문화(文化)와 문학(文學)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그가 유명해진 것은

그가 죽은 후 그의 작품(作品)들이 세상에 알려지고 나서 이기에
그에 대한 생애(生涯)의 기록이 충분치 않다.


하지만 그의 명성(名聲)은

그야말로 영원무궁(永遠無窮)할 정도로 독보적(獨步的)인 존재(存在)가 됐다.
그런 그도 자식 놈들 때문에 늘 근심 걱정이 떠나지 않았던 모양이다.

지난날 우리 부모님이 내게도 그러했듯...
자식 놈 어디 부모(父母) 뜻대로 되던가~
예전이나 요즘이나 그저 자식 걱정이 앞서는 건 한결같은 부모 마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