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내가 사는 집 주변의 소소한 (봄) 풍경들...
영산홍(映山紅)... 그 강렬한 아름다움
일본에서 자라는 철쭉의 한 종류인 사쓰끼철쭉(サツキツツジ)을 기본종으로 하여,
개량한 철쭉의 원예품종 전체를 일컬어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영산홍(映山紅)"이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영산홍(映山紅)이란 이름을 거의 쓰지 않는다.
영산홍(映山紅)의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기리시마철쭉, 구루메철쭉 등이 있으나
서로 교배하고 육종한 것이 수백 종이 넘어 일일이 특징을 말하기도 어렵고,
너무 복잡하여 다 알 수도 없다.
따라서 영산홍(映山紅)이란 사쓰끼철쭉을 대표 종으로 "품종 개량한 일본 산철쭉 무리" 라고 보는 것이 적당하다.
일본인(日本人)들은 만엽집(萬葉集)에 산철쭉이 등장할 만큼 오래전부터 심고 가꾸어 온 전통 꽃나무이다.
오랫동안 산철쭉으로만 알아오다가
에도시대(江戶]時代:1603~1867)에 오면서 비로소 산철쭉과 사쓰끼철쭉을 따로 구분하여,
"5월의 철쭉"이란 이름으로 사쓰끼철쭉을 표기하기 시작했다.
이는 에도시대(江戶]時代) 훨씬 이전부터
따로 품종을 개량하여 자기들이 좋아하는 꽃으로 만들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증거라 볼 수 있다.
어디까지나 일본인들의 꽃이었던 이 꽃나무는
조선시대(朝
“세종(世宗) 23년(1441) 봄에 일본에서 일본철쭉 두어 분을 조공(朝
대궐 안에 심어두고 보았는데 꽃이 무척 아름다웠다.
일본철쭉은 중국(中國)의 최고 미인(美人) 서시(西施)와 같고,
다른 철쭉은 못생긴 여자의 대표인 모모(嫫母)와 같다”라고 했으며
일본(日本)에서 보내온 꽃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있다.
여기서 일본철쭉이라 함은 사쓰끼철쭉으로 짐작된다.
조선(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과 선비들의 문집(文
영산홍(映山紅)을 가장 좋아한 임금은 단연 연산군(燕
연산(燕
움막을 만들어 추위에 말라 죽는 일이 없도록 하였으며 다음해에는 키운 숫자를 보고하도록 했을 정도로 아꼈었다.
이수광(李睟光)이 지은 지봉유설(芝峰類說)에도 영산홍(映山紅)이 나오며,
실학자(實
조선(朝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들어온 것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이다.
지금은 각종 정원수(庭
조선(朝
그야말로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퍼져있다.
사쓰끼철쭉는 일본 각지의 산야나 개울가 바위에 붙어 자라는 습성이 있으며,
줄기는 여럿으로 갈라져 오밀조밀하게 뻗는 특성이 강하다.
잎은 두껍고 단단해
상록(常
여름철 홍수가 질 때 물이 넘어가기 쉽게 낮은 키와 튼튼한 뿌리를 뻗는 특성도 지녔다.
계단식 논두렁의 돌담 틈에서 좀깨잎나무처럼 붙어 자라기도 하며,
대체로 무리를 이루어 자라는 습성이 있다.
꽃은 깔때기 모양으로 위쪽이 다섯 개로 갈라져 있고,
색깔은 붉은색이 기본이나 개량하면서 분홍색, 흰색 등 여러가지 색으로 다변화 되었다.
일본에서 사쓰끼철쭉의 유래는 음력 5월을 뜻하는 "고월(皐月)"에서 유래되었고,
꽃 피는 시기가 철쭉보다 늦은데,
거의 초여름에 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러나 도시에 심은 영산홍(映山紅)은 이보다 훨씬 빠른 양력 4월 말이나 5월 초부터 화려하게 꽃이 피기 시작한다.
또 일설에는 영산홍(映山紅)의 일부는
오래전에 들어온 원종 사쓰끼와 우리나라 산철쭉이 교배되어 생긴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영산홍(映山紅)이 퍼진 당시의 상황을 유추해 볼 때 신빙성이 거의 없어보인다.
꽃이 붉은 것은 영산홍(映山紅)으로...
또 보라색인 것은 자산홍(紫山紅)으로 나누어 부르기도 한다.
영산홍(映山紅)은 꽃, 잎, 생김새까지 우리나라 산철쭉과 거의 비슷하다.
다만 산철쭉보다 키와 꽃잎이 작으나
가장 큰 차이점은
꽃이 선명하고 오밀조밀하게 많이 붙으며,
일반 철쭉보다 2배 정도 오래가고 반 음지에서도 강렬하고 화려한 꽃을 피운다.
그리고 영산홍(映山紅)은 잎이 상록(常
산철쭉은 완전한 갈색의 잎으로 겨울을 난다.
사쓰끼철쭉, 기리시마철쭉, 우리나라 및 일본 산철쭉 등,
수많은 철쭉 무리들이 교배되면서 서로의 형질이 뒤섞여 있어
영산홍(映山紅)의 고유한 형질을 구분키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지금 한창 영산홍(映山紅)이 정원마다 화려하게 피어 그 아름다움을 한껏 뽑내고 있다.
산책겸 등산을 하면서 영산홍(映山紅)의 아름다움을 그냥 지나치기가 아쉬워
주변의 풍경과 함께 사진으로 담아보았다.
'삶 그리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란(風蘭) (0) | 2015.08.04 |
---|---|
나도풍란 꽃을 피우다. (0) | 2015.05.26 |
1)... 내가 사는 집 주변의 (봄) 풍경들... (0) | 2015.04.16 |
만절필동(萬折必東)... 충북 괴산군 화양동 계곡 (0) | 2015.01.12 |
러브 레터(Love Letter)... 추억(追憶)에 젖어들다. (0) | 2014.12.03 |